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빅데이터/빅데이터 인사이트

[Trend Report 16호] 반값TV 열풍에 따른 빛과 그림자

[Trend Report 16호] 반값TV 열풍에 따른 빛과 그림자

2008 6디지털전환 특별법에 의한 아날로그 지상파 TV 디지털 전환 정책을 시작한 이후 약 4년간에 걸친 방송신호 전환 정책의 끝이 보이고 있다.

 

 

 

< 출처, http://www.dtvkorea.org (한국지상파디지털방송추진협회)>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11년 방송매체 이용 형태 조사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아날로그 지상파방송[1] 종료를 앞둔 현재, 국내 등록된 TV 수신기 50% 이상의 상당수가 아날로그 TV이며 교체 수요를 넘어 세컨드 TV에 대한 신규 수요 때문에 디지털TV에 대한 잠재 수요자는 매우 높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 있었다.

 

지상파 TV의 디지털 전환 정책에 따른 가전제품 교체시기와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시장의 부담을 반영한 저가 제품 출시를 이용해 반값 상품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 중 반값 TV는 중소형 저가 TV판매를 시작으로 지난 해 가전 제품으로 최초 대형 할인마트가 저가 TV경쟁에 참여하면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할인 마트 출시 제품으로써 저 품질 저 가격 논란을 잠재우며 기존 가전업체와 실효성 있는 경쟁을 위한 가격과 성능을 모두를 잡았다는 시장 평가를 받기도 했다. 여전히 대형 할인마트와 온라인몰을 통한 저가 TV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최근 백화점마저 가세한다고 밝혀 화제이다.

 

 다양한 저가 TV 상품 출시와 판매에 대한 보도가 꾸준히 기제되고 있는 가운데 SNS 내 어떠한 주제가 여론 확산을 도모하며 SNS 이용자 사이에 공유되고 평가 받고 있는지 여론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반값TV’에 관한 미디어별 확산 추이는 어느 정도 일까?

 

 

 

 < 출처, SNS분석 서비스 트랜드업’(http://www.trendup.co.kr/) 미디어별 추이 분석 >

 

분석기간(2012.04.01~04.21) 반값TV’에 관하여 매스미디어 58%, 트위터 27%, 블로그 15%를 확인했다. 기간 내 가장 높은 게시물 수를 보인 매스미디어의 경우 전반적으로 저렴한 상품 출시와 판매처에 대한 공지 유형이 다수로 나타났으며 트위터, 블로그의 경우 매스미디어를 활용한 기사 확산 및 실제 제품 구매자들의 사용 후기 작성으로 나타났다.

 

반값TV’에 대한 트위터 내 여론 및 TOP 키워드

 

 

 

 < 출처, SNS분석 서비스 트랜드업’(http://www.trendup.co.kr/) 트위터 분석>

 

반값TV와 관련하여 여론의 관심을 파악하기 위한 트위터를 분석한 결과, 조사기간(2012.04.01~04.21) 동안 반값TV에 대한 트위터 내 부정적 여론이 67%로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저가TV에 대한 부정적 측면으로 화질, 해상도, 사운드 등 제품 전반에 대한 품질 불만족 63%, 제품 구입 후 사후관리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 불만족 35%, 가격 및 디자인에 대한 불만족 의견이 각각 1%로 나타났다.

트위터 내 반값TV’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빈도로 추출된 키워드 TOP5에서는 최근 50인치 보급형 TV 출시가 기획중이라는 정보와 함께 삼성전자와 같은 메이져급 가전제품사와 중소기업체의 상품 사이에 품질차이가 이슈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값TV’에 관한 어떤 유형의 매스미디어가 트위터 내 확산되었을까?

 

 

 

< 출처, SNS분석 서비스 트랜드업’(http://www.trendup.co.kr/) 트위터 확산 게시글 분석 >

 

트위터를 통한 매스미디어의 확산 정황을 분석해 본 결과, 반값 TV에 대한 부정적 기사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8건의 확산을 보인 기사는 0404일자 동아일보 반값TV, AS도 반쪽인 분통 TV’로 유통업체에서 구입한 반값TV상품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에 대한 불만으로 제품 판매 이후 애프터서비스(A/S)의 부실 관리로 인한 소비자들의 피해 사례를 소개했다. 또한 0404일자로 지디넷코리아의 대기업 반값TV불편한 진실’’에 대한 기사로 대기업에서 출시한 보급형 저가 제품과 유통업체의 저가 제품의 제조방식에 따른 품질차이에 대한 저가TV 선택시 참고할 수 있는 정보 제공성 글로 확인되었다.

 

 

 

 

반값TV’에 대한 블로그 내 여론 및 TOP 키워드

 

 

 

< 출처, SNS분석 서비스 트랜드업’(http://www.trendup.co.kr/) 블로그 분석 >

 

반값TV와 관련하여 여론의 관심을 파악하기 위한 블로그를 분석한 결과, 조사기간(2012.04.01~04.21) 동안 반값 TV에 대한 블로그 내 부정적 여론이 44%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반값 TV에 대한 디자인 34%, 제품 구입 후 사후관리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 25%, 가격 22%, 화질, 해상도 등 품질 19%로 나타났다. 긍정적 여론은 20%로 가격 37%, 디자인 33%, 품질 25%, 사후관리(AS) 3%로 나타났다.

블로그 내 반값TV’와 관련하여 가장 높은 빈도로 추출된 키워드 TOP5으로 LCD제품에서 LED제품으로의 소비선호 변화 및 대형할인점 제품 구입에 관한 언급이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값TV’에 관한 어떤 유형의 매스미디어가 블로그 내 확산되었을까?

 

 

 

< 출처, SNS분석 서비스 트랜드업’(http://www.trendup.co.kr/) 블로그 확산 게시글 분석 >

 

블로그를 통한 매스미디어 확산 정황 또한 트위터와 마찬가지로 반값 TV에 대한 부정적 기사의 확산이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저가 TV의 잦은 결함과 애프터서비스(A/S)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반값TV의 무리한 가격 경쟁이 핵심부품의 단가 절감으로 이어져 품질을 하락시키고, 애프터서비스 지원이 축소되며 발생하는 문제로 고객의 비난을 사고 있는데 대형 할인마트와 온라인몰에서 주도하는 반값 TV 경쟁이 다양한 저가 TV 경쟁에 있어서 부정적 인식 확산을 환기시킬 기업의 노력과 잠재수요자들을 위한 제품 서비스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  KBS, MBC, SBS (지역민방), EBS로 방송국에서 보내는 전파를 안테나를 통해 보급하여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는 무료방송(KBS 수신료 2500원 별도)을 말한다. 이 때문에 유료방송으로 케이블방송, 위성안테나방송, IPTV등 수신료 2500원 이외 별도의 월 이용료를 지급하는 시청 가구를 제외한 지상파 방송 시청 가구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대비로 컨버터 설치, 디지털 TV 구매보조기와 같은 아날로그 방송 종료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직접 수신기들을 이용한 지상파 방송 전환 대비가 필요하게 된다.